
정부가 13개 혁신성장동력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2022년까지 9조원을 투입한다. 맞춤형 헬스케어와 혁신신약 2개 분야에 절반에 가까운 투자를 집중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 미래성장동력 특별위원회가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한 '혁신성장동력 시행계획'을 심의·확정했다고 29일 밝혔다. 정부는 작년 12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자율주행차, 차세대통신, 드론, 혁신신약, 맞춤형 헬스케어 등 13개 분야를 혁신성장동력으로 선정하고 추진계획을 마련했다.
이날 확정한 시행계획은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선도할 13개 혁신성장동력 분야별 중장기 로드맵과 추진체계 구축, 규제 개선, 핵심기술 발굴 관련 구체적 실행계획을 담았다.
정부는 13개 분야에 올해 약 1조3334억원, 2022년까지 총 9조230억원을 투입한다. 맞춤형 헬스케어와 혁신신약에 4조4000억원을 쏟는다.
빅데이터와 AI를 활용한 맞춤형 헬스케어 연구개발에 2조7600억원을 투자해 신규 수출 유망 의료기기 30개를 개발한다. 수출 10억달러 이상 의료기기를 작년 7개에서 2022년 12개로 늘린다.
혁신신약에는 1조5960억원을 투자한다. 2015년 85개인 신약 후보물질을 2022년 129개로, 바이오헬스 산업 수출액을 102억달러에서 130억달러로 확대한다.
임대식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성장동력별 연구개발(R&D)로드맵, 규제〃제도 개선 등이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성장동력 지원〃조정 역할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